맨위로가기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2007년 7월 29일에 실시되었으며, 총 121석의 의석을 두고 경쟁이 벌어졌다. 선거 결과, 집권 여당인 자유민주당은 과반수 의석 확보에 실패하고, 제1야당인 민주당이 약진했다. 주요 쟁점으로는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에 대한 신임, 연금 문제, 사회 격차 해소, 농업 정책, 헌법 개정 논의 등이 부각되었다. 선거 이후 아베 신조 총리는 사임했고, 참의원에서의 여소야대 상황이 지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일본의 선거 - 2007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
    2007년 일본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는 아베 신조 총리의 사임으로 그의 잔여 임기를 채울 후임 총재를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후쿠다 야스오가 아소 다로를 꺾고 새로운 총재로 선출되었으나, 파벌 정치 폐해 및 여론과의 괴리라는 비판과 함께 후쿠다 내각의 정책 결정 및 당내 통합이라는 과제를 남겼다.
  • 2007년 7월 - 2007년 AFC 아시안컵
    2007년 AFC 아시안컵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 공동 개최, 새로운 시드 배정 방식과 디펜딩 챔피언 자동 출전권 폐지 등의 변화, 이라크의 우승과 유니스 마무드의 최우수 선수 선정, 그리고 이라크 전쟁 이후 이라크의 승리라는 의미를 지닌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7년 7월 - 2007년 올아프리카 게임
    2007년 올아프리카 게임은 알제리 알제에서 개최된 멀티 스포츠 대회로, 24개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시설 및 참가팀 부족으로 일부 종목이 제외되었고, 이집트가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53년 4월 24일 치러졌으며, 자유당이 46석을 얻어 제1당을 유지했으나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했고, 투표율은 63.18%를 기록했다.
  •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68년에 실시된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참의원 의석의 절반을 선출하는 선거로, 지역구와 전국구에서 자유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획득했으나 야당도 상당수 의석을 확보했다.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지도 정보
선거구 및 비례대표 (오른쪽 하단) 선거 결과
선거 정보
국가일본
선거 유형참의원 의원 선거
이전 선거2004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2004
다음 선거2010년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
다음 선거 연도2010
선출 의석수참의원 242석 중 121석
과반 의석수122
선거일2007년 7월 29일
주요 정당
이치로 오자와
이치로 오자와
제1당 대표오자와 이치로
제1당민주당
제1당 이전 선거 의석82석, 37.8%
제1당 선거 후 의석109
제1당 의석 변동27
제1당 득표수23,256,247
제1당 득표율39.5%
제1당 득표율 변동1.7%p
아베 신조
아베 신조
제2당 대표아베 신조
제2당자유민주당
제2당 이전 선거 의석115석, 30.0%
제2당 선거 후 의석83
제2당 의석 변동32
제2당 득표수16,544,671
제2당 득표율28.1%
제2당 득표율 변동1.9%p
오타 아키히로
오타 아키히로
제3당 대표오타 아키히로
제3당공명당
제3당 이전 선거 의석24석, 15.4%
제3당 선거 후 의석20
제3당 의석 변동4
제3당 득표수7,765,329
제3당 득표율13.2%
제3당 득표율 변동3.2%p
시이 카즈오
시이 카즈오
제4당 대표시이 카즈오
제4당일본 공산당
제4당 이전 선거 의석9석, 7.8%
제4당 선거 후 의석7
제4당 의석 변동2
제4당 득표수4,407,932
제4당 득표율7.5%
제4당 득표율 변동0.3%p
후쿠시마 미즈호
후쿠시마 미즈호
제5당 대표후쿠시마 미즈호
제5당사회민주당
제5당 이전 선거 의석5석, 5.4%
제5당 선거 후 의석5
제5당 득표수2,634,713
제5당 득표율4.5%
제5당 득표율 변동0.9%p
와타누키 다미스케
와타누키 다미스케
제6당 대표와타누키 다미스케
제6당국민신당
제6당 이전 선거 의석
제6당 선거 후 의석4
제6당 의석 변동신설
제6당 득표수1,269,209
제6당 득표율2.2%
제6당 득표율 변동신설
다나카 야스오
다나카 야스오
제7당 대표다나카 야스오
제7당신당 일본
제7당 이전 선거 의석
제7당 선거 후 의석1
제7당 의석 변동신설
제7당 득표수1,770,707
제7당 득표율3.0%
제7당 득표율 변동신설
참의원 의장
선거 전 의장오오기 치카게
선거 전 의장 소속 정당자유민주당
선거 후 의장에다 사츠키
선거 후 의장 소속 정당민주당
상세 선거 결과
오자와 이치로
오자와 이치로
1당 대표오자와 이치로
1당 링크민주당 (일본 1998-2016)
1당 이름민주당
1당 대표 취임일2006년 4월 7일
1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중의원 의원)
1당 이전 선거 의석50
1당 비개선 의석49
1당 개선 의석32
1당 획득 의석60
1당 선거 전 의석81
1당 선거 후 의석109
1당 의석 증감28
1당 선거구 득표수24006817
1당 선거구 득표율40.45
1당 비례 득표수23256247
1당 비례 득표율39.48
아베 신조
아베 신조
2당 대표아베 신조
2당 링크자유민주당
2당 이름자유민주당
2당 대표 취임일2006년 9월 20일
2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중의원 의원)
2당 이전 선거 의석49
2당 비개선 의석46
2당 개선 의석64
2당 획득 의석37
2당 선거 전 의석110
2당 선거 후 의석83
2당 의석 증감27
2당 선거구 득표수18606193
2당 선거구 득표율31.35
2당 비례 득표수16544671
2당 비례 득표율28.08
오타 아키히로
오타 아키히로
3당 대표오타 아키히로
3당 링크공명당
3당 이름공명당
3당 대표 취임일2006년 9월 30일
3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중의원 의원)
3당 이전 선거 의석11
3당 비개선 의석11
3당 개선 의석12
3당 획득 의석9
3당 선거 전 의석23
3당 선거 후 의석21
3당 의석 증감2
3당 선거구 득표수3534672
3당 선거구 득표율5.96
3당 비례 득표수7765329
3당 비례 득표율13.18
시이 가즈오
시이 가즈오
4당 대표시이 가즈오
4당 링크일본 공산당
4당 이름일본 공산당
4당 대표 취임일2000년 11월 24일
4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중의원 의원)
4당 이전 선거 의석4
4당 비개선 의석4
4당 개선 의석5
4당 획득 의석3
4당 선거 전 의석9
4당 선거 후 의석7
4당 의석 증감2
4당 선거구 득표수5,164,572
4당 선거구 득표율8.70
4당 비례 득표수4,407,932
4당 비례 득표율7.48
후쿠시마 미즈호
후쿠시마 미즈호
5당 대표후쿠시마 미즈호
5당 링크사회민주당 (일본 1996-)
5당 이름사회민주당
5당 대표 취임일2003년 11월 15일
5당 대표 선거구비례구
(비개선)
5당 이전 선거 의석2
5당 비개선 의석2
5당 개선 의석3
5당 획득 의석2
5당 선거 전 의석5
5당 선거 후 의석4
5당 의석 증감1
5당 선거구 득표수1,352,018
5당 선거구 득표율2.28
5당 비례 득표수2,634,713
5당 비례 득표율4.47
와타누키 다미스케
와타누키 다미스케
6당 대표와타누키 다미스케
6당 링크국민신당
6당 이름국민신당
6당 대표 취임일2005년 8월 17일
6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중의원 의원)
6당 이전 선거 의석신당
6당 비개선 의석2
6당 개선 의석2
6당 획득 의석2
6당 선거 전 의석4
6당 선거 후 의석4
6당 선거구 득표수1,111,005
6당 선거구 득표율1.87
6당 비례 득표수1,269,209
6당 비례 득표율2.15
다나카 야스오
다나카 야스오
7당 대표다나카 야스오
7당 링크신당 일본
7당 이름신당 일본
7당 대표 취임일2005년 8월 21일
7당 대표 선거구비례구
7당 이전 선거 의석신당
7당 비개선 의석0
7당 개선 의석0
7당 획득 의석1
7당 선거 전 의석0
7당 선거 후 의석1
7당 의석 증감1
7당 비례 득표수1,770,707
7당 비례 득표율3.01

2. 선거 정보


  • '''공식 명칭:'''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공시일:''' 2007년 7월 12일[4]
  • '''투표일:''' 2007년 7월 29일[1][2]
  • '''개선 의석 수:''' 121석 (선거구 73석, 비례대표 48석)
  • '''선거권:''' 만 20세 이상의 일본 국민
  • '''피선거권:''' 만 30세 이상의 일본 국민
  • '''선거 제도:'''
  • * 선거구: 중선거구제, 소선거구제
  • * 비례대표: 비구속명부식 비례대표제
  • '''투표 시간:''' 원칙적으로 오후 8시까지였으며, 시정촌 합병 지역이나 도서 지역 등 일부 지역에서는 투표 마감 시간을 앞당기기도 했다.
  • '''사전투표:''' 공시일 다음 날부터 투표일 전날(7월 28일)까지 실시되었다. 니가타현 주에쓰 앞바다 지진 피해 지역 일부에서는 지진 발생 후 사전투표가 중지되기도 했다. 총 10,798,997명의 유권자가 사전투표에 참여했으며[13], 이는 이전 제20회 선거 당시 7,171,390명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선거 전후 내각 정보
구분내각내각총리대신 (자유민주당 총재)여당
선거 당시제1차 아베 내각 (제90대)아베 신조자유민주당, 공명당 (자민·공명 연립 정권)
선거 후후쿠다 야스오 내각 (제91대)후쿠다 야스오자유민주당, 공명당 (자민·공명 연립 정권)


2. 1. 일정 변경 논란

원래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7월 5일을 공시일로, 7월 22일을 투표일로 예정하고 있었다. 이는 공직선거법 제32조 제2항에 따라 참의원 개회 중 또는 폐회 후 23일 이내에 선거가 있을 경우, 폐회일로부터 24일 이후 30일 이내에 선거를 실시해야 한다는 규정과, 제166회 통상국회가 6월 23일에 폐회할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아베 신조 총리는 연금 시효 폐지법이나 공무원 개혁법 등 주요 법안을 국회 회기 내에 통과시키려는 의지를 보였다. 이에 따라 정부와 여당은 국회 회기를 5일에서 2주가량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했고, 최종적으로 12일간 회기를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6월 22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가결되었으며, 6월 26일 각의 결정을 통해 공시일은 7월 12일, 투표일은 7월 29일로 각각 1주일씩 연기되었다.[3]

갑작스러운 일정 변경으로 인해, 기존 7월 22일 투표일을 기준으로 준비해왔던 전국의 각 시정촌 선거관리위원회는 투·개표소 및 인력 확보 등에서 혼란을 겪었다. 특히 선거일이 변경되면서 예정되어 있던 여름 축제나 불꽃놀이 대회의 일정이 급하게 변경되거나, 예비일을 설정할 수 없게 되는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 예를 들어 7월 28일에 열린 스미다가와 불꽃놀이 대회는 원래 29일을 예비일로 두었으나, 선거 일정 변경으로 인해 경비 문제 등으로 예비일을 설정하지 못했다.

또한, 군마현에서는 원래 예정대로 7월 22일에 현 지사 선거를 실시하기로 하면서, 7월 29일 참의원 선거까지 2주 연속으로 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입후보 예정자들의 유세 일정 등에 혼란이 발생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사가현에서는 7월 28일부터 전국 고등학교 종합 체육 대회가 개최되어 투표소로 예정되었던 일부 장소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이러한 회기 연장과 선거 일정 지연에 항의하며 은퇴를 결정한 의원도 나타났다.

3. 주요 쟁점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에 대한 신임 여부가 선거의 가장 큰 배경이 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여러 쟁점이 부각되었다.

선거 공시일부터 사흘간(2007년 7월 13일~16일) 일본어 블로그 약 800만 개를 분석한 결과, 참의원 선거 관련 게시물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는 '연금'(2,988건)이었다. 이는 연금 기록 문제가 유권자들의 최대 관심사였음을 보여준다. 이어 '아베'(2,247건)가 2위를 차지했으며, 아베 총리가 강조했던 '교육'(1,177건)과 '헌법'(936건)은 각각 3, 4위에 머물렀다. 야당이 제기한 '의료'(919건), '돈'(712건), '격차'(691건), '부가세'(545건) 등도 주요 키워드로 등장했다.[23]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 '''연금 기록 문제 및 사회보험청 처리''': 국민연금 시스템에서 수백만 건의 납부 기록이 사라진 문제가 불거지면서 정부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 이는 선거 기간 내내 최대 쟁점으로 작용했다. 민주당은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하며 정부 여당을 공격했고, 자유민주당은 뒤늦게 수습책을 발표했으나 여론을 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 '''아베 신조 내각에 대한 평가''': 2007년 들어 아베 신조 내각의 지지율은 계속 하락했다.[5] 연금 문제 외에도 각료들의 연이은 실언과 스캔들이 터져 나오면서[1] 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졌다.
  • 후생노동대신 야나기사와 하쿠오의 "여성은 애 낳는 기계" 발언과 방위대신 규마 후미오원폭 관련 발언은 큰 논란을 일으켰고, 두 사람 모두 사임했다.
  • 마쓰오카 도시카쓰 농림수산대신의 자살과 후임 아카기 노리히코 농림수산대신의 정치 자금 스캔들 등 '정치와 돈' 문제도 자민당에 대한 불신을 심화시켰다.
  • '''사회 격차 및 양극화 문제''': 저임금 파견근로자 증가, 넷카페 난민 문제 등으로 상징되는 사회 양극화 심화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정률감세 폐지로 인한 서민 부담 증가도 불만을 키웠다. 민주당은 '국민 생활이 최우선'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아동 수당 지급 등을 공약하며 격차 해소를 주장했다. 일본 공산당과 사회민주당 역시 불평등 해소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 '''농업 정책''': 일본오스트레일리아 간의 FTA(일·호주 경제 연계 협정) 추진 등 정부의 농업 정책에 대한 농촌 지역의 반발이 있었다. 민주당은 모든 농가에 직접 소득을 보상하는 '농업자 호별 소득 보상 제도'를 공약으로 내걸어 농촌 표심을 공략했다.
  • '''일본국 헌법 개정 논의''': 자민당은 당초 헌법 개정, 특히 평화헌법 9조 개정을 주요 쟁점으로 삼으려 했으나, 연금 문제 등 민생 현안이 부각되면서 주요 쟁점에서 밀려났다. 공산당과 사회민주당은 헌법 수호를 강력히 주장했다.


이 외에도 우정민영화에 반대했던 의원들의 복당 문제(우정 반란파 복당 문제), 여당의 강행 처리 연발 등도 쟁점이 되었다.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대표는 '독선적인' 정부의 종식과 연금 및 의료 개혁을 약속하며 노동자, 주민, 납세자의 편에 서겠다고 강조했다.

4. 각 당의 전략과 결과

이번 선거는 연금 기록 문제가 최대 쟁점으로 부상하면서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자유민주당(자민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고조되는 가운데 치러졌다.

민주당은 오자와 이치로 대표의 주도 아래 농촌 지역 공략과 야당 연대를 통해 선거 승리의 기반을 다졌다. '국민의 생활이 제일'이라는 구호를 중심으로 생활 밀착형 정책을 내세워 유권자의 지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반면, 자민당은 당초 일본국 헌법 개정을 주요 쟁점으로 삼으려 했으나, 연금 문제와 내각 각료들의 실언 및 스캔들 등[1] 악재가 겹치면서 '성장을 실감하게!'라는 구호에도 불구하고 선거에서 고전했다.[5]

공명당은 연립 여당으로서 자민당과 함께 비판에 직면하며 지지세가 약화되어 일부 의석을 잃었다.

일본공산당은 '스톱 빈곤'을 내걸고 격차 시정을 호소했으나 의석은 감소했다. 선거 결과에 대해 자민·공명 연립 정권에 대한 심판이자 헌법 개정 시도에 대한 비판이라고 평가했다.[28]

사회민주당헌법 9조 수호를 강조했지만, 주요 쟁점에서 멀어지며 의석이 줄었다.

국민신당과 신당 일본은 각각 지역구 당선자 배출과 다나카 야스오 대표의 인지도에 힘입어 의석을 확보했다. 기타 군소 정당들은 의석 획득에 실패했다.

'''주요 정당별 선거 구호'''


  • 자유민주당: '''성장을 실감하게!'''(成長を実感に!일본어) → '''개혁실행력 자민당'''(改革実行力 自民党일본어)
  • 민주당: '''국민의 생활이 제일.'''(国民の生活が第一。일본어)
  • 공명당: '''미래에 책임을 지는 정치.'''(未来に責任を持つ政治。일본어)
  • 일본공산당: '''‘확실한 야당’으로 생활과 평화를 지켜냅니다.'''(『たしかな野党』として、くらしと平和を守りぬきます。일본어)
  • 사회민주당: '''9조와 연금이 위험하다'''(9条と年金があぶない일본어)
  • 국민신당: '''정정당당 ‘저항세력’'''(正々堂々、『抵抗勢力』일본어)
  • 신당 일본: '''새로운 일본선언.'''(新しい日本宣言。일본어)

4. 1. 자유민주당 (자민당)

선거 당시 아베 신조 총재가 이끄는 자유민주당공명당과 함께 자공연립정권을 구성하고 있었다. 5월 여론조사에서는 민주당에 다소 앞섰으나[14], 이후 여러 악재가 겹치며 상황이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자민당은 당초 일본국 헌법 개정을 주요 쟁점으로 삼으려 했으나, 선거 직전 터진 국민연금 기록 분실 문제가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면서[6] 연금 문제가 최대 쟁점으로 부상했고, 기존 선거 전략 수정이 불가피했다.

이에 자민당은 도농 간 격차 문제 등을 고려하여 선거 구호로 "성장을 실감하게!"(成長を実感に!)를 내걸었고, 이후 "개혁실행력 자민당"(改革実行力 自民党)으로 변경했다. 제166회 국회에서 통과시킨 사회보험청 분할법, 공무원법 개정, 교육 재생 관련법 등의 입법 성과를 강조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선거 포스터는 파란색을 기조로 하여 아베 총리가 내세운 "아름다운 나라" 만들기를 홍보했다.

그러나 선거 기간 내내 제1차 아베 내각에 대한 비판 여론을 키우는 사건들이 이어졌다.[1]

  • 국민연금 시스템에서 수백만 건의 지급 기록이 누락된 문제와 정부의 미흡한 대응.
  • 이나기사와 하쿠오 후생노동상과 규마 후미오 방위상 등 각료들의 잇따른 실언.
  • 마쓰오카 도시카쓰 전 농림수산상의 금융 스캔들 의혹 속 자살과 후임 아카기 노리히코 농림수산상의 불투명한 사무소 경비 문제.


이러한 악재들은 내각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졌고[5], 연금 문제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자 자민당은 과거 연금 번호 통합을 추진했던 민주당 대표대행 간 나오토의 책임을 부각하는 팸플릿을 배포하며 반격을 시도했다. 또한 선거 기간 중 총무성 산하 제3자 위원회를 통해 연금 시효 문제 해결 및 연금 특별 우편 발송 방침을 발표했으나, 선거 직전의 발표는 뒤늦은 대응이라는 인상을 주었다.

아베 총리는 선거 초반 "나를 선택할 것인가, 오자와 씨를 선택할 것인가"라며 민주당과의 대결 구도를 강조했지만, 이후 불리한 국면이 되자 승패 기준선을 명확히 하지 않은 채 결과와 무관하게 정권을 유지하겠다는 자세를 보였다.

선거 결과, 자민당은 개선 대상 64석 중 37석을 얻는 데 그쳐 참패했다. 비개선 의석 46석을 합쳐 총 83석을 확보했지만, 이는 선거 전 110석에서 27석이나 감소한 수치였다. 참의원 과반수를 상실한 자민당의 패배는 결국 아베 신조 총리의 사임과 후쿠다 야스오 내각 출범으로 이어졌다.

4. 2. 민주당

오자와 이치로 대표는 선거 전후에 걸쳐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민주당의 승리를 이끌었다. 선거 공시 전부터 농촌이 대부분인 1인 선거구를 집중적으로 방문하고, 사회민주당, 국민신당 등 다른 야당과의 선거 연대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선거 운동 기간에도 대표로서는 이례적으로 도시 지역보다는 농촌 지역 유세에 집중하여, 전통적으로 자유민주당(자민당)의 지지 기반으로 여겨졌던 1인 선거구에서 큰 승리를 거두는 기반을 마련했다.

민주당은 정책적으로 정부가 대규모 농가나 공동 영농 조직에만 집중하는 농업 정책을 비판하며, 모든 농가에 대한 직접적인 가격 보상을 약속하는 '호별 소득 보상 제도'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또한 '국민의 생활이 제일'이라는 구호를 전면에 내걸고, 연금 기록 문제[6]를 적극 활용하여 연금 통장 교부 및 최저 보장 연금 도입을 포함한 연금 제도 개혁안, 1인당 월 26000JPY의 아동 수당 지급 등 생활 밀착형 정책을 강조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당시 아베 신조 내각의 지지율 하락[5]과 연금 문제, 각료들의 잇따른 실언 및 금융 스캔들[1] 등으로 실망한 유권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갔다. 오자와 대표는 야당이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면 정계를 은퇴하겠다는 선언을 하며 선거에 대한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선거 결과, 민주당은 개선 대상 121석 중 과반수가 넘는 60석(지역구 40석, 비례대표 20석)을 획득하는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2004년 선거보다 12석이 늘어난 결과이며, 자민당이 얻은 37석을 크게 웃도는 수치였다. 비개선 의석 49석을 합쳐 총 109석을 확보하게 된 민주당은 참의원에서 제1당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민주당은 이번 선거에 총 80명(지역구 45명, 비례대표 35명)의 후보를 공천했다.

선거 당시 민주당 집행부는 다음과 같다.

4. 3. 공명당

공명당은 ‘생명의 정책’(命のマニフェスト일본어)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워, 구호 헬기의 정비나 암 대책의 완비 등을 제시했다. 선거 구호는 '미래에 책임을 지는 정치.'(未来に責任を持つ政治。일본어)였다.

그러나 연립 여당의 일원으로서 받는 비판 여론 등의 영향으로 비례대표 득표가 저조했다. 또한 일부 선거구에서는 자유민주당 후보와 의석을 다투는 상황이 벌어져, 이례적으로 3인 선거구에서 낙선하는 후보가 나오기도 했다.

선거 당시 공명당의 주요 임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대표오타 아키히로
대표대행하마시즈 토시코
부대표사카구치 리키, 쿠사카와 쇼조, 히가시 준지, 이노우에 요시히사
간사장키타가와 카즈오
정무조사회장사이토 테쓰오
국회대책위원장우루시하라 요시오
참의원 의원회장쿠사카와 쇼조
최고고문칸자키 타케노리, 후유시바 테츠조


4. 4. 일본공산당

일본공산당은 ‘스톱 빈곤’을 내걸고 격차 시정 정책을 중점적으로 호소하며 선거에 임했다. 선거 구호는 '''‘확실한 야당’으로 생활과 평화를 지켜냅니다.'''(『たしかな野党』として、くらしと平和を守りぬきます。일본어)였다.

선거 결과, 개선 대상 의석은 비례대표 3석 확보에 그쳐 총 의석수는 공시 전 9석에서 7석으로 2석 감소했다. 하지만 비례대표 득표는 약 440만여 표를 얻어 이전 선거보다 약간 증가하며 지지 기반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선거 결과에 대해 공산당 상임간부회는 자민당의 참패를 ‘자민·공명당의 틀로는 일본의 미래가 없다고 판단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또한, 헌법 개정을 주요 쟁점으로 내세운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의 좌절은 ‘전후 체제로부터의 탈각’을 목표로 하는 야스쿠니파의 반동적인 야망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라고 지적했다. 공산당은 이번 선거 결과가 자민당과 공명당 정치에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새로운 정치 국면에서 공산당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28]

=== 선거 결과 상세 ===

구분후보자 수당선자 수 (개선)비개선 의석최종 의석 수공시 전 의석
합계63명3명4석7석9석
지역구46명0명4석7석9석
비례대표17명3명


  • '''비례대표 득표:''' 4,407,937표 (7.5%)


=== 선거 당시 지도부 ===

직책이름
위원장시이 가즈오
부위원장하마노 타다오
서기국장이시이 이쿠코, 오가타 야스오, 이치다 타다요시
정책위원회 책임자코이케 아키라
국회대책위원장코쿠다 케이지
참의원 의원단장요시카와 하루코


4. 5. 사회민주당 (사민당)

사회민주당은 '9조와 연금이 위험하다'(9条と年金があぶない일본어)라는 구호를 내걸고 일본국 헌법 9조가 위험하다는 점을 쟁점으로 부각시키며 호헌(헌법 수호)을 호소했다. 그러나 선거가 진행되면서 헌법 개정이 주요 쟁점에서 멀어지는 등의 영향을 받아 의석이 감소하는 결과를 맞았다.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은 개선 대상 2석을 포함하여 총 5석을 확보하는 데 그쳐, 선거 전 6석에서 1석이 줄어들었다.

선거 당시 사회민주당의 주요 임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당수후쿠시마 미즈호
부당수테루야 히로노리, 후치가미 사다오
간사장마타이치 세이지
정책심의회장아베 토모코
국회대책위원장시게노 야스마사
참의원 의원회장후치가미 사다오 (겸임)


4. 6. 국민신당

국민신당은 '정정당당 ‘저항세력’'(正々堂々、『抵抗勢力』|세세도도, 데이코세이료쿠일본어)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선거에 임했다.

선거 결과, 지역구에서 후보를 당선시키는 등 일정 수준의 지지를 확보했다. 자유민주당공명당 연립 여당이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면서, 국민신당이 정국 운영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캐스팅보트'를 쥘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여당이 예상보다 크게 패배하면서 이러한 기대는 실현되지 않았고, 국민신당은 야당으로서 활동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번 선거에서 국민신당은 2석(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을 얻어, 선거 전 2석(비개선 의석)을 포함해 총 4석의 의석을 확보했다.

4. 7. 신당 일본

신당 일본은 '새로운 일본선언.'(新しい日本宣言。|아타라시이 닛폰 센겐일본어)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선거에 임했다. 선거 직전에 현직 의원이 탈당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대표인 다나카 야스오의 높은 지명도에 힘입어 여론조사에서 당락이 불투명했던 비례대표 1석을 최종적으로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선거 결과, 신당 일본은 비례대표에서 1석을 확보하여 총 1석의 의석을 가지게 되었다.

선거 당시 신당 일본의 주요 간부는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대표다나카 야스오
부대표아리타 요시오
총무국장히라야마 마코토


5. 선거 결과

2007년 7월 29일 실시된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자유민주당(자민당)과 공명당으로 이루어진 연립 여당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1][2] 당시 아베 신조 내각의 지지율 하락과 연금 문제를 비롯한 여러 정치적 논란 속에서 자민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았다.

선거 결과, 자민당은 1989년 선거 이후 최악의 참패를 당하며 1955년 창당 이후 처음으로 참의원 제1당 자리를 민주당에게 내주었다. 민주당은 이번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이로써 여당이 중의원 과반수를 차지하고 야당이 참의원 과반수를 차지하는 '네지레 국회'(뒤틀린 국회) 상황이 1999년 이후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야당 전체는 비개선 의석을 합쳐 참의원에서 과반수를 넘어 안정 다수를 확보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공직선거법 개정에 따라 도쿄도지바현에서 각각 1석씩 증원되고, 도치기현군마현에서 각각 1석씩 감원되는 선거구 정수 조정이 일부 시행되었다. 또한, 재외선거 제도가 확대되어 선거구 투표도 가능해졌다.

5. 1. 총 의석 수



NHK 보도에 따르면, 자유민주당(LDP)은 이 선거에서 참의원 과반수를 상실하며 큰 타격을 입었다. 반면, 민주당(DPJ)은 1996년 창당 이후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하며 압승을 거두었다.[7] 자민당과 연립 여당을 구성했던 공명당 역시 9석을 잃으며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7][8]

선거 패배에도 불구하고 당시 총리였던 아베 신조는 사퇴 요구를 거부하고 총리직을 계속 수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9] 야당은 그의 사퇴를 강력히 요구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국제적으로 알려진 일부 후보들이 낙선하는 이변도 있었다. 후지모리 알베르토, 다하라 가오리, 오쓰지 가나코, 나카마쓰 요시로, 도조 유코 등이 대표적이다.[10] 반면, 독특한 정치 행보로 주목받았던 전 나가노현 지사 다나카 야스오는 자신이 이끄는 신당 일본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며, 핀란드 출신 귀화 정치인 쓰루넨 마루테이는 민주당 비례대표 후보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재선에 성공했다.

또한, 전통적으로 특정 이익 집단(의사, 치과의사, 건설업계 등)의 지지를 바탕으로 당선되었던 자민당 소속 의원 다수가 이번 선거에서 낙선하는 결과가 나타났다.[11]

제21회 일본 참의원 통상선거 정당별 의석 결과
출처: 아사히 신문 보도 및 요약 정보 기반
정당명개선 의석비개선 의석합계 의석증감 (선거 전 대비)
여당
자유민주당37468337
공명당911209
여당계 무소속112-
여당 소계4758'105' 46
야당
민주당604910960
일본공산당3473
사회민주당2352
국민신당2240
신당 일본1011
야당계 무소속6511-
야당 소계7463'137' 68 (무소속 제외)
무소속 전체
무소속76137
합계121121242


5. 2. 투표율

2007년 7월 29일에 실시된 선거의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

  • 비례대표: 58.63% (이전 선거 대비 2.09%p 상승)
  • 선거구: 58.64% (이전 선거 대비 2.07%p 상승)


이번 선거는 12년 만의 돼지띠 선거여서 투표율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자민당 정권에 대한 강한 비판 여론과 1인 선거구를 중심으로 접전 지역이 많았던 영향으로 투표율은 오히려 이전 선거보다 약 2%p 상승했다. 또한, 사전투표제도가 널리 보급되면서 이 제도를 이용한 투표자 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편, 투표 마감 시간을 앞당긴 투표소가 있어 논란이 되었다. 전체 투표소의 약 30%에 해당하는 14,840곳의 투표소에서는 통상적인 마감 시간인 오후 8시보다 이른 오후 4시부터 7시 사이에 투표가 마감되었다. 총무성은 시정촌 합병으로 인해 과소 지역 투표소에서 시가지 개표소까지 투표함을 운반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을 주된 이유로 설명했다.[15]

그러나 민주당은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며 7월 24일 스가 요시히데 총무대신에게 항의했다. 민주당이 지적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마감 시간 단축 발표가 선거 기간 중인 7월 20일에 이루어졌다는 점
  • 오카야마현 비젠시 등 2년 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정시에 마감했던 투표소에서도 마감 시간이 앞당겨졌다는 점[16][17]
  • 마감 시간을 앞당긴 투표소가 가고시마현(전체의 92%), 아키타현(89%), 고치현(86%) 등 1인 선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


민주당은 이러한 조치가 공직선거법 규정을 벗어난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고 비판했다.[18]

5. 3. 여론조사

마이니치 신문과 TBS가 공동으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25]에 따르면, 여당인 자민당 지지율은 21%에 그친 반면, 제1야당인 민주당 지지율은 31%로 자민당을 크게 앞섰다. 연립 여당인 공명당의 지지율 6%를 합쳐도 여당 전체 지지율은 민주당에 미치지 못했다. 선거 결과 예측에서도 자민당은 30석에서 40석 내외 획득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 반면, 민주당은 57석에서 68석 내외를 얻어 과반수 확보에 필요한 64석에는 크게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의 정책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62%에 달했으며, 이들 중 45%는 참의원 선거 비례대표 투표에서 민주당을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자민당을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11%에 불과해, 아베 신조 내각에 대한 낮은 평가가 여당의 패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60% 이상이 아베 내각을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보다 높은 지역은 아베 총리의 고향인 야마구치현뿐이었다. 2007년 내내 발표된 여론조사들은 아베 신조의 지지율 하락[5]과 연금 기록 문제 등 스캔들에 대한 민주당 입장에 대한 대중의 지지[6]를 보여주었다. 공식 선거운동 시작 시점까지 여러 다른 스캔들이 발생하면서 자유민주당의 전망은 개선되지 않았다.[1]

다만, 지지 정당을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이 26%에 달해 선거 결과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거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자민당의 의석 감소는 불가피하며, 자민당이 얼마나 의석을 잃을지가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정기 조사가 아닌 선거 전 특별 여론조사에서 1996년 민주당 창당 이후 처음으로 민주당 지지율이 자민당을 앞선 사례였다.[26]

5. 4. 기타

=== 선거 일정 변경 ===

당초 이 선거는 7월 5일 공고, 7월 22일 투개표로 예정되어 있었다. 이는 공직선거법 제32조 제2항에 따라 제166회 국회 회기 말인 6월 23일을 기준으로 설정된 일정이었다.

그러나 아베 신조 당시 총리는 "연금 시효 폐지법", "공무원 개혁법" 등을 회기 내에 통과시키려는 의지를 보였고, 이에 따라 정부와 여당 내에서 회기를 1~2주 연장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최종적으로 12일간의 회기 연장이 결정되어 6월 22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가결되었다. 이로 인해 선거 일정은 1주일씩 연기되어 7월 12일 공고, 7월 29일 투개표로 변경되었으며, 이는 6월 26일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갑작스러운 일정 변경으로 인해, 기존 7월 22일 투개표를 준비하던 전국의 시정촌 선거관리위원회는 투개표소 및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7월 28일부터 예정되었던 지역 여름 축제나 불꽃놀이 대회가 선거일과 겹치면서 일정을 급히 변경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 예를 들어, 스미다가와 불꽃놀이 대회는 7월 28일에 열렸으나, 예비일로 지정되었던 29일이 선거일이 되면서 경비 문제 등으로 예비일을 설정하지 못하게 되었다. 군마현에서는 7월 22일에 현지사 선거가 예정되어 있어 2주 연속 선거가 치러지게 되자, 출마 예정자들 사이에서 유세 일정 등에 혼란이 생긴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사가현에서는 28일부터 헤이세이 19년도 전국 고등학교 종합 체육 대회가 개최되어 투표소로 예정된 일부 장소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이러한 회기 연장과 선거 일정 지연에 항의하며 은퇴를 결정한 의원도 있었다.

=== 선거 기간 주요 사건 ===

  • '''7월 12일''': 선거 공시
  • 자유민주당 총재 아베 신조도쿄 아키하바라에서, 민주당 대표 오자와 이치로오카야마시에서 각각 첫 연설을 시작했다.
  • '''7월 13일 ~ 7월 15일''': 제19호 태풍(平成19年台風第4号) 상륙으로 각 정당은 선거 운동을 일시 중단했다.
  • '''7월 16일''': 니가타현 중월 앞바다 지진(新潟県中越沖地震) 발생
  • 아베 총리는 나가사키시에서의 유세 일정을 취소하고 당일 가시와자키시 지진 피해 현장을 방문했다.
  • '''7월 19일''': 일본공산당 기관지 신문 아카하타 일요판이 시오자키 야스히사 관방장관 사무실의 경비 문제를 보도했다.
  • 요미우리 신문이 선거 초반 판세를 보도했다.
  • '''7월 20일''': 아사히 신문이 선거 초반 판세를 보도했다.
  • '''7월 25일''': 요미우리 신문이 선거 후반 판세를 보도했다.
  • '''7월 27일''': 아사히 신문이 선거 후반 판세를 보도했다.
  • 아카기 노리히코 농림수산대신이 정치 활동비를 이중으로 계상했다는 의혹이 각 신문에 보도되었다.
  • '''7월 28일''': 선거 운동 마지막 날
  • 아베 총리는 도쿄 신바시역 앞에서, 오자와 대표는 시마네현 이즈모시에서 마지막 유세를 펼쳤다.
  • '''7월 29일''': 투표 및 개표


=== 군소 정당 결과 ===

이번 선거에서는 여러 군소 정당들이 후보를 내세웠으나, 의석을 확보한 정당은 없었다.

  • '''여성당'''(마치야마 케이코 대표): 지난 선거에서 비례대표 의석 획득에 근접했으나, 이번에는 후보자 수를 늘렸음에도 득표수가 감소했다.
  • '''9조 네트'''(마에다 토모카츠 대표): 헌법 9조 개정 반대를 주요 공약으로 내걸고 일부 지역에서 사민당과 선거 협력을 시도했다.
  • '''이신정당·신풍'''(우오야 테츠오 대표): 우익 성향의 블로거를 후보로 공천하는 등 인터넷을 활용한 선거 운동을 펼쳤다.
  • '''공생신당'''(쿠로카와 노리아키 당수): 당수 부부의 개인적인 활동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 그 외 '''의원을 반감시키는 모임'''(스다 키쿠오 대표), '''일본 스마일당'''(맥 아카사카 총재), '''세계경제공동체당'''(마타요시 예수 대표), '''신당 프리웨이 클럽'''(프리웨이 클럽, 와고우 히데노리 대표) 등도 후보를 냈지만 의석 획득에는 실패했다.


=== 선거 방송 ===

주요 방송사들은 선거 당일 개표 특별 프로그램을 편성했다.

'''지상파'''

  • NHK 『선거 개표 속보』
  • NNN 『ZERO×선거』 (사회: 시마다 신스케, 무라오 노부타카 등)
  • JNN 『난! 참의원 선거 2007』 (사회: 도리고에 슌타로, 미쿠모 다카에 등)
  • 마이니치 방송 『지친푸이푸이 선거 스페셜 가쿠의 선거☆인』 (사회: 가쿠 준이치 등) - 간사이 로컬
  • FNN 『FNN 슈퍼 선거왕』 (사회: 안도 유코, 와타나베 가즈히로)
  • ANN 『선거 STATION 2007』 (사회: 후루타치 이치로, 고노 아키코 등)
  • TXN 『더 결단! 국민의 심판』 (사회: 도쿠미츠 가즈오, 고이케 에이코)


'''CS·케이블 텔레비전'''

  • 닛테레 NEWS24 『개표 속보! 어떻게 될까 아베 정권 Breaking The 참의원』
  • TBS 뉴스 『2007년 참의원 선거・모두 보여줍니다! 최종 의석까지』
  • 아사히 뉴스타 『보도 특별방송 2007 선택의 시간』


'''라디오'''

; 전국 방송

  • TBS 라디오 『JRN 특별방송 참의원 선거 개표 스페셜 「아베 정권의 향방은!?〜참의원 선거 배틀 토크!」』
  • 분카 방송 『참의원 선거 개표 스페셜 「일본의 내일은 어디로!?〜소코다이지나토코〜」』
  • 닛폰 방송 『참의원 선거 개표 스페셜 어떻게 될 의석 획득』
  • TOKYO FM 『선거 특별방송 「아름다운 일본의 미래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 간사이 지역 방송

  • MBS 라디오 『속보 선거! 지금 바로 결정한다, 네가 대장!』
  • ABC 라디오 『ABC 참의원 선거 개표 스페셜 「아베 총리의 성적표」』


=== 선거 후 사건 ===

  • 가나가와현 선거구에서 당선된 자유민주당 소속 고바야시 아타루 의원 진영의 회계 담당자 등 3명이 선거 운동원에게 현금을 제공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체포, 기소되었다. 현금을 받은 운동원 24명도 불구속 기소되었다. 고바야시 의원은 이 사건의 책임을 지고 9월 4일 의원직을 사퇴했으며, 차점자였던 공명당의 마쓰 아키라가 추가 당선되었다.

6. 선거 이후

선거 결과 자민당은 역사적인 참패를 당했고, 민주당이 제1당으로 약진하면서 참의원에서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되었다. 이는 아베 신조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공명당 연립 정권에 큰 정치적 타격을 주었으며, 이후 일본 정치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특히 중의원과 참의원의 다수파가 다른 네지레 국회 상황이 본격화되면서 국정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6. 1. 정치적 영향

선거 패배에도 불구하고 7월 30일 아베 신조 총리는 "국민의 목소리를 받아들이면서 앞으로도 책임을 수행해 가겠다"며 정권 유지 의사를 밝혔다. 연립 여당인 자민당과 공명당 역시 아베 총리 지지 및 연립 유지 방침을 확인했다.[29] 그러나 7월 30일부터 31일까지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는 아베 총리가 '사임해야 한다'는 의견이 47%로 '계속했으면 한다'(40%)는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제1차 아베 신조 내각 지지율은 26%로 2006년 9월 발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정당 지지율에서도 민주당이 34%로 자민당(21%)을 크게 앞섰다. 자민당 패배의 주요 원인으로는 연금 문제(44%)와 각료들의 부적절한 처신(38%) 등이 꼽혔다.[30]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자민당 내에서는 나카가와 히데나오 간사장과 아오키 미키오 참의원 의원회장이 사임했다. 아베 총리는 8월 1일 금전 문제로 비판받던 아카기 노리히코 농림수산대신을 경질하고, 8월 27일 내각 개조를 단행하며 정권 쇄신을 시도했으나,[29] 당내 사퇴 압력(아베 오로시)과 악화된 여론을 극복하지 못했다. 결국 9월 10일 임시국회에서 소신표명연설을 한 지 이틀 만인 9월 12일내각 총사퇴를 발표했다.

한편, 선거에서 압승한 민주당의 오자와 이치로 대표는 7월 30일 당 소속 후보들에게 보낸 글에서 "아베 자민당의 폭주에 참의원에서 제동을 걸고, '국민 생활이 제일'이라는 이념을 내건 내각을 수립하겠다"며 정권 교체 의지를 분명히 했다.[31] 민주당은 8월 31일 새로운 당직 인사를 통해 오자와 이치로 대표, 간 나오토 대표대행, 하토야마 유키오 간사장의 트로이카 체제를 유지하면서 참의원 출신 임원을 대거 등용하여 참의원을 중시하는 자세를 보였다.

8월 7일 소집된 제167회 국회에서는 만장일치로 민주당의 에다 사쓰키가 참의원 의장으로, 자민당의 산토 아키코가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아베 총리 사퇴 후 9월 25일 실시된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에서는 중의원이 후쿠다 야스오 자민당 총재를 지명했으나[21], 참의원에서는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대표를 지명하는[22] 결과가 나왔다. 일본국 헌법 규정에 따라 중의원의 의결이 우선하여 9월 26일 후쿠다 야스오 내각이 발족했지만, 참의원에서 여당이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고 야당이 의회 운영의 주도권을 쥐게 되는 '꼬인 국회' 상황이 본격화되었다.

이로 인해 여당은 국정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참의원 의장과 의원 운영 위원장 등 주요 직책을 야당이 차지하면서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다.

  • 여당이 반대하는 야당 제출 법안(연금 보험료 유용 금지 법안 등)이 참의원에서 우선 가결되어 중의원으로 송부됨.
  • 중의원에서 통과된 법안의 심의가 참의원에서 60일간 방치되거나 회기 만료로 폐기됨.
  • 야당 주도로 여당 의원에 대한 징벌 결의안, 총리 및 각료에 대한 문책 결의안, 상임위원장 해임 결의안, 여당 참의원 의원에 대한 의원 사직 권고 결의안 등이 가결됨.
  • 야당 주도로 국정조사권이 발동되고 증인 소환(전 방위 사무 차관 모리야 타케마사 등)이 이루어짐.
  • 일본은행 정책위원, 회계검사원 검사관, 인사원 인사관 등 주요 국회 동의 인사 안건이 참의원에서 부결되어 인사에도 난항을 겪음.

참조

[1] 웹사이트 Japan News Review - Upper House election campaigning sees official kick off http://www.japannews[...] 2007-07-12
[2] 웹사이트 Abe has high hopes for Diet session http://search.japant[...]
[3] 웹사이트 The Asahi Shimbun http://www.asahi.com[...]
[4] 웹사이트 http://www.yomiuri.c[...] 2022-02-00
[5] 웹사이트 Support for Abe falls below 40% http://search.japant[...]
[6] 웹사이트 Abe approval rating hits all-time low http://search.japant[...]
[7] 웹사이트 NHK ONLINE English http://www.nhk.or.jp[...] 2007-07-29
[8] 웹사이트 The polls are in: Historical loss for Abe, LDP, opposition grabs overwhelming majority http://www.japannews[...]
[9] 웹사이트 Abe on precarious foothold, opposition demands resignation http://www.japannews[...] 2007-07-30
[10] 웹사이트 Fujimori, Ainu, Lesbian, inventor and Tojo's granddaughter all defeated in election http://www.japannews[...] 2007-07-30
[11] 뉴스 Japan's Meaningless Election https://thediplomat.[...] 2010-07-10
[12] 웹사이트 2007NQ@I -UEI JANJANSƃf[^x[X- http://www.senkyo.ja[...] 2011-03-05
[13] 뉴스 参院選:期日前投票者数1000万人超える 前回比5割増 http://www.mainichi-[...] 毎日新聞 2007-07-29
[14] 웹사이트 asahi.com:参院比例投票先、自民28%・民主21% 連続世論調査 - 朝日新聞 2007参院選:特集 https://web.archive.[...]
[15] 뉴스 投票所3割で終了繰り上げ 参院選、平成の大合併影響(中日新聞・2007年7月21日付) http://www.chunichi.[...] 中日新聞 2007-07-21
[16] 웹사이트 投票時間繰上げのお知らせ www.city.bizen.okaya[...] 2010-09-09
[17] 웹사이트 広報びぜん・2005年9月5日号 www.city.bizen.okaya[...] 2006-01-17
[18] 뉴스 民主、投票時間繰り上げに反対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07-07-24
[19] 문서 『官報号外』平成19年9月10日 第168回国会 参議院会議録第1号(その1) p.6 https://kokkai.ndl.g[...]
[20] 문서 『官報号外』平成24年12月26日 第182回国会 参議院会議録第1号(その1) p.6 https://kokkai.ndl.g[...]
[21] 웹사이트 議事経過 第168回国会 https://www.shugiin.[...]
[22] 웹사이트 参議院公報 第168回国会(臨時会) 議事経過 https://www.sangiin.[...]
[23] 뉴스 ‘자민, 민주가 치열, 연금이 압도 - 블로그로 본 참의원 선거’ http://www2.asahi.co[...] 아사히 신문 2007-07-20
[24] 뉴스 ‘군마 현 지사 선거 : 오자와 씨가 첫 당선, 현직의 5선 저지하고’ http://www.mainichi-[...] 마이니치 신문 2007-07-23
[25] 여론조사 2007-07-19
[26] 뉴스 선거 : 참의원 선거 중반 정세·마이니치 신문 종합 조사 1 - 자민, 저조에 위기감 http://www.mainichi-[...] 마이니치 신문 2007-07-22
[27] 뉴스 〈참의원 선거〉 기일전투표자 1000만 명 넘어 전회 대비 5할 증가 http://headlines.yah[...] 마이니치 신문 2007-07-28
[28] 뉴스 공산, 대도시부에서의 득표 증가를 평가 - 당간부회 성명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2007-07-31
[29] 뉴스 자민·공명, 연립 유지에 내각 개조, 8월 말에서 9월에 http://www2.asahi.co[...] 아사히 신문 2007-07-30
[30] 뉴스 수상은 사임을 47%, 계속했으면 한다 40% 본사조사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2007-08-01
[31] 뉴스 오자와 대표, 당내에 격문 - 총선거를 향한 결의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2007-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